본문 바로가기
건강

통풍 치료방법, 원인, 요산수치 정상 범위

by 후스스 2022. 12. 15.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통풍이 어떤 질환인지, 왜 생기고 어떻게 치료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서구화된 식습관과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한국에서도 통풍 환자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임산부가 출산하는 고통보다 심한 통증을 느낀다는 통풍은 식습관이 좋지 않은 40대 남성들에게 흔하게 발병합니다.

 

통풍이란?

통풍은 혈액에 있는 요산이라는 물질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원활히 체외로 배출되지 않고 혈액을 타고 움직이는 도 중 관절의 연골이나 힘줄 등 조직에 침착되는 질환

통풍 치료방법

 

통풍 원인

먼저 통풍은 나이가 많은 남성에게서 발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는 남성은 여성보다 콩팥에서 요산을 제거하는 능력이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반면에 여성은 폐경 이전까지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콩팥이 요산을 제거하는 능력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통풍이 생기는 근본적 원인은 요산이 체내에 쌓이는 건데요. 콩팥에서 이를 제거하지 못하고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면서 통풍이 걸리게 됩니다. 이는 비만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술과 고기를 주로 먹는 식습관은 피해야 합니다.

통풍 치료방법

 

통풍 증상

1. 무증상 고요산 혈증

혈액 내에 요산 수치는 높은 상황이나, 통풍으로 인한 통증이나 증상이 발현되지 않은 단계입니다. 무증상 고요산 혈증의 경우에는 90% 이상이 평생 통풍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사례가 많으나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2. 급성 통풍성 관절염

급성적으로 발생하는 통풍관절염은 요산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는 동시에 발병하며 첫 발작통증은 잠든 시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빠르면 몇 십분 늦으면 몇 시간 내 요산이 침범한 관절 부분의 작열감이 생기고 붉게 변하며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첫 통풍발작은 몇 시간에서 며칠 지속되며 심한 경우 몇 주 동안 지속되기도 합니다.

통풍 치료방법

3. 간헐기 통풍

간헐기의 통풍은 급성으로 통풍 통증이 온 뒤 발작 증상이 생기지 않는 기간을 뜻 합니다. 첫 발작통증에 발생한 후 6~24개월 이후 두 번째 발작이 생기는 경우가 흔한데,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에는 발작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주기도 짧아지게 됩니다. 간헐기 통풍은 통풍 증상이 나타나는 휴식기이기에 진단이 안 될 수도 있으므로 통풍 증상을 느낀 직후 바로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게 적절합니다.

 

4. 만성 결절성 통풍

간헐기통풍의 시기를 지나게 되면 만성 통풍이 될 확률이 높은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에는 체형의 기형이나 관절의 손상이 심할 수 있어 만성이 되기 전에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통풍 치료 방법

무증상 고요산 혈증 - 비만 고지혈증, 음주, 고혈압 등과 같은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

 

급성 통풍성 관절염 - 급성 통풍 발작이 일어난 직후에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제와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로 인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고 통풍발작이 생기게 되면 즉시 약을 투여해야 한다

통풍 치료방법

간헐기 통풍 - 콜히친을 소량 복용시에 급성 통풍 발작을 예방하는 데에 효과적이고 이는 예방일 뿐 요산 수치를 제거하는 근본적인 치료는 아니다. 3~6개월 정도 복용 후 끊을 수 있으나 다시 급성 통풍 발작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만성 통풍 - 항고요산혈증이라는 약물을 이용하여 요산 수치를 조절해 요산이 각 조직에 침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혈액 내 요산 수치를 정상화할 수 있다.

통풍 치료방법

 

요산 수치 정상범위

먼저 혈내 요산 수치의 정상범위는 남성의 경우 3~6mg/dl, 여성의 경우 2~5mg/dl이 정상 범위입니다. 이를 초과하여 7.0mg/dl이 될 경우에는 고요산 혈증으로 판별하고 증상이 나오지 않더라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통풍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잘못하면 관절 기형까지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통풍은 혈액검사로도 진단이 가능한 질환이니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꼭 병원에 방문하셔서 진료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댓글